모든 내용은 결코 주식 매수 추천이 아님을 밝힙니다. 개인 공부를 위한 정리이며, 해당 방법을 검증 없이 사용하는 것은 각 개인의 책임임을 알려드립니다. 소중한 돈 충분히 직접 검증하지 않은 방법으로 날리지 마세요. 모든 건 본인 책임입니다.
이번엔 장대 양봉을 활용한 간단한 매매 방법에 대해서 이야기 하려고 합니다. 검증은 하지 않은 하나의 아이디어일 뿐이니 혹시 읽었다면 참고만 해주세요.
목차
장대 양봉
장대 양봉하면 무엇이 먼저 떠오르시나요? 흔히 장대 양봉이라하면 세력봉, 매집봉, 기준봉 등으로 생각하시는 분이 많이 계실겁니다. 스티브 니슨, 잭 슈웨거를 비롯한 다양한 사람들의 책에서 장대양봉(팔로스루데이로 표현한 경우가 많음)은 하나의 강력한 지지 구간이 된다고 이야기합니다. 장대 양봉이 발생하려면 매도자들의 물량을 받아내고 계속해서 가격을 올릴 자금력이 필요합니다. 개인이 만들기 쉽지 않은 캔들입니다. 즉, 장대 양봉은 개인이 아닌 세력이 만든 캔들을 의미합니다. 여기서 세력은 기관일수도 있고 작전을 치는 세력일수도 있습니다. 세력이 누구일지는 모르겠으나 중요한 것은 돈을 써서 가격을 밑에서 끌어 올렸다는 것입니다.
가격 상승을 예상하고 혹은 가격을 상승 시켜 한탕하기 위해서 크게 매수를 했으면 이후 어떻게 행동을 할까요? 가격 상승을 예상했다면 더 싸졌기 때문에 한탕 하기 위해서라면 손해를 보지 않기 위해 가격이 내려오면 매수를 할테고 그러면 이 장대 양봉은 강력한 지지선이 될겁니다.
그렇기 때문에 이 양봉을 믿고 매수의 기준점으로 사용하는 것입니다.
장대 양봉 눌림목 매매 방법
우선 장대 양봉이 발생한 경우 장대봉의 중간 정도를 매수 주체의 평균가로 가정을 합니다. 그러면 우리도 최소한 그들과 함께 가기 위해서 장대 양봉의 중간부터 매수를 진행합니다. 이후 장대 양봉의 저가를 이탈하면 손절을 하고 바로 직전의 고점 부근에 도달하면 혹은 최초 리스크의 2배 이상을 달성하면 매도를 합니다.
설명을 위해 적합한 차트를 가져왔습니다.
장대 양봉이 발생 후 장대 양봉의 절반 이하까지 주가가 내려온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절반 지점에서 매수를 했다면 양봉의 저가 즉 손절 지점까지 약 13%가 되겠네요. 리스크의 2배를 목표가로 잡는다면 26%가 되겠네요. 당연히 성공적인 사례의 차트를 가져왔기 때문에 아래에서는 훌륭히 달성한 것을 볼 수가 있습니다.
매수 방법의 변형
실제 진행 중인 차트에서 보면 이상과 같이 움직이지 않습니다. 장대 양봉 발생 후 절반까지의 되돌림이 없는 경우도 흔하고 되돌림인 줄 알았는데 그대로 저가이탈을 하는 경우도 흔합니다. 이럴 때에는 등분 선을 이용해서 본인의 성향과 믿음에 맞게 변형을 해주는 것도 방법입니다.
예를 들면 이런식입니다. '내가 봤는데, 장대 양봉 발생 후 주가가 바로 잘 안빠지고 버티던 주식이 잘가더라.' 라는 식으로 생각한다면 절반까지 빠질 것을 기다릴 필요가 없습니다. 이런 식으로 수정할 수 있겠네요.
첫 장대 양봉을 5등분으로 나눠서 상단의 2칸 범위 내에서 매수 중간 칸을 하단 이탈 시 손절
아래 차트를 보면 바로 이해를 할 수 있습니다. 동그라미 친 영역에서 매수를 하고 노란색 박스 영역을 하단 이탈하면 손절을 하는 거죠.
혹은 위의 변형과 다르게 하단의 2칸에 도달시 매수를하고 저가를 이탈시 손절을 하는 방향으로 설계를 할 수도 있습니다. 중요한 것은 직접 검증해보는 것입니다.
'주식 공부 하기 > 주식 투자 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가 패턴 공부하는 방법(기술적 분석 공부방법) (0) | 2022.11.07 |
---|---|
이동평균 눌림목 추세 매매 기법 (0) | 2022.11.07 |
RSI와 지지선을 이용한 매매 방법 (0) | 2022.10.25 |
[스크랩][주식차트 보는 법] 52주, 역사적 신고가 종목 위주 매매해야 하는 이유! (0) | 2022.09.21 |
[매매기법] 박스권 추세 매매 기법 (1) | 2022.08.31 |
댓글